친환경 제품
친환경 제품 개발 및 인증 확대
LG디스플레이는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대형 및 중소형 OLED와 LCD 제품에서 SGS 인증, TUV 인증, 녹색 인증 등 친환경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앞으로도 LG디스플레이는 책임있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원류단계에서부터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탄소배출 감축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관련 인증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습니다.
제품 친환경
성과지표
(Eco Index) 운영
LG디스플레이는 친환경 제품 개발을 위한 ‘제품 친환경 성과지표(Eco Index)’를 도입했습니다. 제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자체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평가를 통해 자원, 에너지, 유해물질에 대한 친환경 제품 기준을 강화하여 고객 지향적인 친환경 제품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CASE65인치 디스플레이 제품 친환경 성과지표(Eco Index)
친환경 제품 개발을 위한 제품 친환경 평가(Eco Index)를 적용한 대표 사례로 65인치 디스플레이를 들 수 있습니다.
제품 개발 단계에서 자체 평가를 실시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에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와 비율을 재활용이 용이한 원료로 대체함으로써 재활용률을 향상시켰습니다.
Eco Index 평가 지수
-
범주1
자원
- 자원 사용량 저감
- 재활용 원료 사용
- 폐기제품 재활용율 평가 · 향상
- 희소금속 평가 · 회수(기술개발)
- 분해용이성 향상
-
-
범주3
유해물질
- 환경규제 만족
- 자발적 유해물질 사용 저감 · 개선
OLED vs LCD TV Module 재활용 가능율 및 원료 사용량 Trend
- 원료사용량 Trend
- 철금속
- 비철금속
- Plastic
- 기타
(단위 : kg)
- 79.1
- 92
- 92.2
- 92.6
- 92.7
- 92.7
- LCD2.95.21.88.1
- V17 OLED2.30.57.57.2
- V18 OLED2.20.50.115.1
- V19 OLED2.20.50.117.8
- V20 OLED1.60.40.117.2
- V21 OLED1.60.40.117.2
친환경 인증
LG디스플레이는 제품의 개발, 구매, 제조, 판매 , 폐기까지의 전과정 측면의 친환경성을 다양한 대외 인증을 통해검증 받고 이를 통해 제품 친환경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제품군별 친환경 인증 획득 현황
|
|
SGS 인증* |
TUV 인증** |
녹색 인증*** |
대형 |
OLED |
|
|
|
LCD(Touch) |
|
|
|
중소형 |
LCD(Touch) |
|
|
|
OLED(소형) |
|
|
|
SGS Eco Label : ISO 14024 기반의 제품 친환경 인증 프로그램
TUV 인증 : ISO 14021 기반의 재활용 및 유해물질 검증 및 인증 프로그램
녹색기술 인증 : 정부 주관으로 유망한 녹색기술 및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 제도
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 및 관리
LG디스플레이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기 위해 유해물질 관리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유해물질 관련 국내외 법규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인체와 환경에 안전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제품 유해물질 관리
프로그램
LG디스플레이는 특정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는 EU RoHS*, REACH** 등 국내외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사 등록 단계부터 양산 단계까지 총 4단계의 Gate를 수립하여 관리하는 유해물질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RoHS에서 2016년 법안 확정되어 2019년 7월 22일부터 공식 발효된 신규 규제물질 4종(프탈레이트 4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잠재된 위험요소를 사전에 대체하고 보다 안정화된 관리 Process를 구축하였습니다. 해당 Process 구축을 위해 사외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사전에 규제 동향을 파악하여 자사 대응전략을 수립하였으며, 개발/구매/품질/분석부서와의 업무협업을 통해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도출 및 적용하였습니다.
RoHS(The 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 납, 수은, 카드뮴 등 인체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 화학물질에 대한 유럽연합의 규제 체계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Bis(2-ethylhexyl) phthalate), 벤질부틸프탈레이(BBP, Benzyl butyl phthalate), 디부틸프탈레이트(DBP, Dibutyl phthalate), 디소부틸프탈레이트(DIBP, Diisobutyl phthalate)
-
- Gate 01협력사 등록단계
-
- 신규 협력사 등록 전 Audit 실시
- 유해물질 대응프로세스 점검
-
- Gate 02부품개발 단계
-
- 개발 전부품 환경성 평가 실시
- 서류심사, XRF*, 정밀분석 실시(3단계)
-
- Gate 03제품개발 단계
-
- 모델 환경성 평가 실시
- 제품 라벨링 실시
(RoHS Verified)
-
- Gate 04양산 단계
-
- 양산 전 부품 주기적 테스트를 통한 공정관리
- 리스크평가를 통한 등급별 Test실시
XRF(X-Ray Fluorescence(Spectrometer)) : X선 형광분석장비로서 유해물질 간이분석 장비
제품 유해물질
관리체계
LG디스플레이는 유해물질을 Level A-I, A-II, B의 3등급으로 분류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제품 유해물질 관리 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제품 유해물질 규제에서 금지하는 물질 외에도, 인체와 환경에 유해성을 일으키는 물질에 대해서도 Level B 물질로 지정하고, 이를 대체하는 기술 및 부품을 개발하여 자사 제품에 확대 적용하는 노력들로 규제 외 유해물질들의 점진적 저감 및 제거하는 자발적 저감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제품 유해물질 분류
-
- Level A-Ⅰ
-
- EU RoHS 규제에서 지정한 10종 및 특정 고객사 지정 금지물질로 납, 카드뮴, 수은, 6가 크롬 및 화합물, PBB, PBDE, 프탈레이트 4종과 기타 브롬계 난연제, 기타 염소계 난연제)
-
- Level A-Ⅱ
-
- Level A-Ⅰ 이외 법규 및 협약에서 금지하는 물질, 고객사 지정 금지물질로 PCBs, PCNs, 석면, 유기 주석계 화합물, 오존층 파괴물질 등
-
- Level B
-
- 현 시점에서 사용금지는 아니지만 향후 저감 및 단계적 사용금지를 계획하고 있는 물질로 휘발성 유기화학물, RoHS 규제 후보물질, RoHS 예외조항 물질, REACH 고위험 후보물질 등